2025. 3. 18. 17:54ㆍ애드센스쟁이
가비아(Gabia) DNS 관리 페이지에서는 ads.txt를 직접 추가할 수 없으며, 웹호스팅을 이용하여 ads.txt 파일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하지만, TXT 레코드를 통해 일부 설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1. 가비아 DNS에서 ads.txt 추가 방법
가비아 DNS에서는 직접 ads.txt 파일을 추가할 수 없지만, TXT 레코드를 추가하여 구글이 도메인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TXT 레코드 추가 방법
가비아 홈페이지 접속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도메인" > "내 도메인 관리" 클릭
ads.txt를 설정할 도메인 선택
"DNS 관리" 버튼 클릭
TXT 레코드 추가
호스트: @ (또는 빈칸)
값/위치: 본인의 Google AdSense 퍼블리셔 ID 입력
TTL 값: 600 또는 기본값 유지
저장 후 변경사항 적용까지 최대 24시간 대기
2. 웹호스팅을 이용한 ads.txt 추가 방법 (권장)
Google은 ads.txt 파일을 루트 도메인(예: example.com/ads.txt) 경로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비아 DNS에서는 파일을 직접 업로드할 수 없으므로, 웹호스팅이 필요합니다.
★ 웹호스팅이 있는 경우
웹호스팅의 FTP 또는 파일 관리자 접속
public_html 디렉터리에 ads.txt 파일 생성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입력 후 저장
브라우저에서 https://도메인.com/ads.txt 접속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
Google AdSense에서 검증 완료까지 24~48시간 대기
★ TTL 값 설정
권장 TTL 값: 600초 (기본값 유지 가능)
TTL(Time to Live)은 DNS 정보 변경 후 적용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기본값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빠른 반영을 원하면 600~3600 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DNS 관리에서 TXT 레코드 추가 가능하지만, ads.txt 파일 직접 등록 불가
웹호스팅이 있다면 ads.txt 파일을 public_html 폴더에 업로드하는 것이 최선
TTL 값은 600~3600으로 설정 가능하며 기본값 유지해도 무방
Google에서 반영되기까지 최대 24~48시간 소요될 수 있음
'애드센스쟁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Search Advisor]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연동 방법 (0) | 2025.04.06 |
---|---|
[Microsoft Bing Webmaster Tools] 빙웹마스터툴즈와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연동 방법 (0) | 2025.04.06 |
[Google AdSense] 구글 애드센스와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연동 방법 (0) | 2025.04.06 |
[Google Search Console] 구글서치콘솔과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연동 방법 (0) | 2025.04.06 |
티스토리 + 가비아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 DNS 설정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