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6. 12:01ㆍ자격증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어. TCP/IP 프로토콜에서 IP 네트워크의 IP 상태 및 오류 정보를 공유하게 하며 핑(ping)에서 사용된다.
스크립트 : 소스 코드를 컴파일(Compile)하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컴파일 :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바이너리 코드 : 컴퓨터가 알아 볼 수 있는 코드 0과1로 구성된 형태의 파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환경이다. ßà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도서관) :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모아 놓은 집합체이다. (모듈과 패키지)
쉘(shell) : 사용자가 터이널에서 명령을 입력하면, 이 명령을 kernel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사용자의 요청을 shell의 프로그램을 통해 해석되고, 그 결과를 Kernel에 전달한다. Kernel과 사용자 사이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한다.
커널(Kernel) : Shell에게 전달받은 사용자의 요청을 하드웨어에 전달하여 처리 할 수 있게 한다. CPU,메모리 등의 다양한 장치들을 추상화하여 사용자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하기 쉽도록 해주는 것이 운영체제이며, 운영체제의 핵심이 커널이다. 운영체제의 가장 중심이 되어 하드웨어를 직접적 제어한다.
논리주소(Logical Address)는 CPU에 의해 생성되며, 가상주소라고 불림
물리주소(Physical Address)는 실제 메모리 유닛(HW)에서 사용되는 주소
스레싱 : 프로세스의 실제 처리 시간 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스레드 : 프로세스 보다 가벼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순차적인 제어의 흐름이며, 실행 단위.
프로토콜 : 서로 다른 시스템에 있는 두 개체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일련의 통신 규약이다.
튜플(Tuple) : 테이블 내의 행(Row)
엔티티(Entity) : 데이터베이스에서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으로 관리할 대상이 되는 실체
다형성(Polymorphism) :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각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
트리거(방아쇠)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 (CRUD이벤트 자동 수행)
인터페이스 : 이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기능이다.
트랜잭션 :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
2. 내용에 추가, 삭제, 갱신을 가져오도록 하는 행위(거래)를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데이터 기록)
함수 Function :
프로시저 : Database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
메소드 Method : 함수와 같다.
서브루틴 :
디버깅 : 데이터베이스 프로시저에 대한 검증 작업을 프로그램 디버깅이라 한다. (~ing는 기법)
디버그 : 개발 중에 발생하는 시스템의 논리적인 오류나 버그를 찾아서 수정하는 과정
테스트 : 시스템이 정해진 요구를 만족하는지, 예상과 실제 결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사하고 평가하는 단계
빌드 : 소스코드 파일을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아웃풋으로 만드는 과정
컴파일 :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작성한 코드를 다른 언어의 코드(기계어)로 변환하는 단계 (소스 à 실행 .exe)
바이너리 : 컴퓨터가 알아 볼 수 있는 0 과1로 구성된 형태의 파일 (대표적으로 HWP 또는 DOC 문서 파일들이 있다)
1. 영문으로된 글을 한글로 번역하는 것을 컴파일이다. (컴파일 :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하는 일
2. 번역한 글을 책으로 엮는 것은 빌드이다. (빌드 : 컴파일된 코드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일)
3. 완성된 책을 고개글이 읽을 수 있도록 서점에 진영하는 것은 배포이다. (배포 : 빌드가 완성된 실행 가능한 파일을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배치시키는 일.)
4. 1~2번 과정을 하나로 묶어 ‘빌드 한다’고 하기도 한다. (혹은 컴파일을 포함해 war, jar등의 실행 가능한 파일을 뽑아내기까지의 과정을 빌드한다고도 한다)
컴포넌트 : 실제 물리적 장치에서 작동하는 숫자 그대로 카운트.
모듈 : 모듈은 기능이 똑같으면 여러 개라도 하나로 계산
JDBC : Java Database Connectivity
ODBC : Open Database Connectivity
형상관리 : 문서
커밋 : 개발자 PC에 소스코드를 수정한 이후 형상관리시스템에 소스코드 반영
롤백 :
정규화 :
SDLC(소프트웨어생명주기) : 시스템 요구사항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요설구테유)
OSI 7 Layer
1. Application Layer 우리의 언어, 한국어로 편지를 쓴다.
2. Presentation Layer : 편지봉투, 편지를 봉투에 넣는다.
3. Session Layer : 우체국, 우체국에 편지를 부치러 간다.
4. Transport Layer : 빠른 우편으로 보낼지, 느린 우편으로 보낼지 정한다.
5. Network Layer : 집 주소, 보내는 주소와 받는 주소를 기재 한다 (IP)
6. DataLink Layer : 이름, 보내는 사림 이름과 받는 사람 이름을 기재 한다 (MAC Add)
7. Physical Layer : 배달, 전송 되어 진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시스템 보안 구축) (0) | 2025.02.16 |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0) | 2025.02.16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1) | 2025.02.16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활용) (0) | 2025.02.16 |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응용SW 기초 기술 활용)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