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해지는 퀵커머스 시장 경쟁, 생존을 위한 전략은?

2025. 4. 21. 22:59상식

반응형

한국은 전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배달 강국입니다. 치킨, 커피, 생필품까지 30분 내 도착하는 서비스는 이제 일상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초고속 배달 시스템의 중심에는 **퀵커머스(Quick Commerce)**가 있습니다. 단순 음식 배달을 넘어, 즉시 소비 가능한 상품 전반으로 서비스가 확장되며 시장은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그 배경에는 밀도 높은 도시 구조, 발달된 IT 인프라, 실시간 위치 추적, 그리고 경쟁이 만들어낸 '속도'가 있습니다.

퀵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배달 초강국 코리아의 시스템

현재 퀵커머스 서비스, 누가 뛰고 있나?

국내 퀵커머스 시장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업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습니다:

  • 쿠팡이츠 마트: 쿠팡의 로켓배송 기술을 기반으로 식료품, 생필품 즉시 배송
  • B마트 (배달의민족): 전통 배달 앱에서 생필품 즉시 배송으로 확장
  • 요마트 (요기요): 요기요의 배달망을 활용한 신선식품/생필품 배송
  • GS프레시몰, 오아시스, 마켓컬리: 새벽배송 기반에서 당일 배송, 즉시배송으로 확대

이 서비스들의 공통점은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FC) 기반의 물류 구조와 라이더 네트워크를 활용한 라스트마일 경쟁입니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Last-mile delivery, LMD)란 물류의 마지막 단계로,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되기까지의 구간을 뜻한다.)

 

퀵커머스 시장, 이제는 ‘생존’이 걸렸다

퀵커머스는 소비자에게는 매우 편리하지만, 기업에는 다음과 같은 도전 과제를 안깁니다.

1. 수익성 확보가 어렵다

빠른 배송을 위한 물류·인건비는 비용이 많이 들며, 현재 대부분의 퀵커머스 업체는 적자 운영 중입니다.

2. 브랜드 충성도는 낮다

퀵커머스 소비자는 속도와 가격에 민감하고, 특정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는 낮습니다. 경쟁 업체 간 차별화가 거의 없는 구조입니다.

3. 친환경 대응 미비

단시간 내 배달을 위해 포장재, 바이크 운행이 많아지며 환경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주요 퀵커머스 서비스

퀵커머스의 미래,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1. 로컬 중심 MFC 전략

서울 중심을 벗어나 지역 맞춤 물류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중소도시까지 확장성을 고려한 물류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2. 데이터 기반 상품 큐레이션

고객의 시간대별 구매 패턴을 분석하고, AI 추천 기반 상품 구성으로 구매 전환율을 높여야 합니다.

3. 친환경 이슈 대응

종이 포장재, 전기 오토바이, 리사이클 박스 등의 지속가능한 물류 방안을 도입하는 기업이 시장 신뢰를 얻을 것입니다.

 

퀵커머스는 속도와 편의성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산업입니다.
배달 초강국 한국은 이러한 시스템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지만, 지금부터는 질적 전환과 친환경 경쟁력 확보가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