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7. 10:38ㆍ자격증
청정도 관리 기준은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식품 등의 제조 환경에서 미립자 및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규정입니다. 일반적으로 GMP 기준에 따라 제조 환경의 청정도를 관리하며, 국제적으로 ISO 14644-1, EU GMP, 미국 FDA, WHO GMP 등의 기준이 적용됩니다.
1. 청정도 등급 (Cleanroom Classification)
청정도는 공기 중 부유입자(미립자)의 개수에 따라 등급이 나뉘며, 대표적인 기준으로 ISO 14644-1과 EU GMP(Grade A~D)가 사용됩니다.
ISO 14644-1 청정도 등급 (미립자 기준)
ISO 등급≥ 0.1㎛ 미립자 (개/m³)≥ 0.5㎛ 미립자 (개/m³)
ISO 1 | 10 | 2 |
ISO 2 | 100 | 24 |
ISO 3 | 1,000 | 237 |
ISO 4 | 10,000 | 2,370 |
ISO 5 | 100,000 | 10,200 |
ISO 6 | 1,000,000 | 102,000 |
ISO 7 | 10,000,000 | 352,000 |
ISO 8 | 100,000,000 | 3,520,000 |
ISO 9 | - | 35,200,000 (일반 공기 수준) |
- ISO 5 등급: 일반적으로 주사제(무균제제) 제조 환경에 적용
- ISO 7~8 등급: 비멸균 의약품, 일반 화장품 제조 환경에 사용
EU GMP 청정도 등급 (A, B, C, D)
의약품 제조 환경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준으로, 특히 무균(멸균) 환경 관리에 적용됩니다.
등급공기 중 0.5㎛ 미립자 (개/m³) - 정지 상태공기 중 0.5㎛ 미립자 (개/m³) - 운영 상태
Grade A | ≤ 3,520 | ≤ 3,520 |
Grade B | ≤ 3,520 | ≤ 352,000 |
Grade C | ≤ 352,000 | ≤ 3,520,000 |
Grade D | ≤ 3,520,000 | 미규정 |
● 운영 상태(Operational Condition): 실제 작업이 진행될 때의 청정도 기준
● 정지 상태(At-Rest Condition): 설비가 가동 중이지만 작업자가 없는 상태
- Grade A: 가장 엄격한 무균 환경 (주사제 충전, 필터 멸균 등)
- Grade B: Grade A 환경을 서포트하는 주변 구역
- Grade C, D: 비멸균 공정 및 원료 준비 과정에서 사용
2. 미생물 오염 기준
청정실 내 공기 및 표면의 미생물 수를 제한하는 기준도 존재합니다.
EU GMP 미생물 오염 기준 (공기 샘플링 기준)
등급공기 중 미생물 수 (CFU/m³)표면 미생물 수 (CFU/25cm²)
Grade A | ≤ 1 | ≤ 1 |
Grade B | ≤ 10 | ≤ 5 |
Grade C | ≤ 100 | ≤ 25 |
Grade D | ≤ 200 | ≤ 50 |
CFU (Colony-Forming Unit): 균이 배양될 수 있는 집락 형성 단위
3. 청정도 유지 및 관리 방법
● 공기 관리 (HVAC 시스템 활용)
- HEPA 필터(고효율 공기청정필터) 사용
- 차압(Pressure Difference) 유지 (오염 방지)
- 적절한 공기 흐름(유니디렉셔널 공기 흐름 등) 설계
● 출입 관리
- 작업자의 소독 및 무진복 착용
- 에어 샤워(Air Shower) 사용
- 출입 제한 및 동선 관리
● 정기적인 청소 및 모니터링
- 환경 모니터링(Environmental Monitoring) 시행
- 표면 및 장비 소독
- 정기적인 미생물 검사 및 필터 교체
4. 결론
GMP 청정도 관리 기준은 의약품 및 무균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ISO 14644-1과 EU GMP 기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공기 중 미립자 및 미생물 수를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적절한 환경 제어 시스템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품 오염 및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밸리데이션(Validation) (0) | 2025.02.07 |
---|---|
부유균 기준 (Airborne Microbial Contamination Limits) (0) | 2025.02.07 |
GMP 3요소 (Three Key Elements of GMP) (0) | 2025.02.07 |
각국의 완제의약품 GMP 명칭 정리 (0) | 2025.02.07 |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0) | 2025.02.07 |